수용소 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용소 군도》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저서로, 굴라그 시스템의 형성과 작동 원리, 죄수들의 삶, 수용소 내 저항, 유형(流刑), 스탈린 사후의 굴라그 변화 등을 다룬다. 이 책은 레닌의 포고령부터 스탈린 사후까지의 소련 강제 노동 수용소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고찰하며, 체포, 재판, 수감, 노동, 반란, 석방 등 죄수의 전형적인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다. 1973년 파리에서 러시아어 초판이 출간된 후, 전 세계적으로 번역되어 굴라그 시스템의 실상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일부에서는 증언과 구술 자료에 의존하고 과장된 추정치를 제시한다는 지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굴라크를 소재로 한 작품 - 웨이 백 (2010년 영화)
1940년대 스탈린 시대 시베리아 강제 수용소에서 탈출한 야누시와 수감자들이 자유를 찾아 고난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웨이 백은 피터 위어 감독 작품으로, 짐 스터게스, 에드 해리스, 시얼샤 로넌, 콜린 패럴 등이 출연한다. - 굴라크를 소재로 한 작품 -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영화)
1970년 개봉한 영화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카스퍼 브레데가 감독했으며, 1950년대 소련 굴라크 수용소에서 죄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통해 강제 수용소의 비참한 현실을 묘사한 드라마로, 핀란드에서는 정치적인 이유로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수용소 군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Архипелаг ГУЛАГ (Arkhipelag GULAG) |
저자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언어 | 러시아어 |
번역가 | Geneviève Johannet, José Johannet, Nikita Struve (프랑스어) Thomas P. Whitney (영어) Tian Dawei (중국어) Francisco Augusto Ferreira, Maria Llistó, José Augusto Seabra (포르투갈어) |
국가 | 프랑스 |
출판사 | YMCA Press |
출판일 | 1973년 |
영어 출판일 | 1974년 |
분류 | |
듀이 십진분류법 | 365/.45/0947 |
의회도서관 분류법 | HV9713 .S6413 1974 |
기타 | |
ISBN | 0-06-013914-5 |
OCLC | 802879 |
웹사이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공식 웹사이트 |
2. 구조 및 내용
《수용소 군도》는 크게 세 부분, 총 7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여러 장으로 나뉘어 굴라그 시스템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 제1부: 굴라그의 형성과 작동 원리를 다룬다. 블라디미르 레닌이 10월 혁명 직후 발표한 포고령을 통해 정치범과 일반 범죄자들이 강제 노동을 선고받는 수용소 시스템의 법적, 실질적 틀이 마련되었다. 솔제니친은 수용소 시스템의 기원을 스탈린이 아닌 레닌에게서 찾는다.
- 제2부: 굴라그로 이송되는 과정과 강제 노동에 대해 다룬다. 죄수들은 화물 열차, 달마 배, 도보, 특별 호송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송되었다.
- 제3부: 굴라그 내 강제 노동의 참혹한 현실과 수감자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상세히 묘사한다.
- 제4부: 수감 생활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수용소는 사람의 마음을 바꾸기도 하고 타락시키기도 한다.
- 제5부: 스탈린에 의해 부활한 징역형과 특수 수용소, 그리고 죄수들의 저항을 다룬다. 1954년 켕기르 수용소에서 수용소 군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T-34 전차가 투입되어 진압되었다.
- 제6부: 소련의 유배는 1922년 강제 이주부터 시작되었다. 형기를 마친 죄수들은 유배형을 받았다. 작가 역시 1953년 유배형을 받았다.
- 제7부: 스탈린 사후에도 굴라그 시스템이 지속되는 현실과 그 의미를 다룬다. 1961년에 규율이 개정되어 현재의 수용소가 되었다.
2. 1. 제1부: 굴라그의 형성과 작동 원리
블라디미르 레닌은 10월 혁명 직후 발표한 최초의 포고령을 통해 정치범과 일반 범죄자들이 강제 노동을 선고받는 일련의 수용소를 위한 법적, 실질적 틀을 마련했다.[5] 솔제니친은 수용소 시스템의 이론적, 법적, 실질적 기원을 스탈린이 아닌 레닌에게서 찾고자 했다.[5];1 체포
: "군도"로 가는 사람들은 먼저 체포된다.
;2 우리 하수도의 역사
: 수용소로 보내진 사람들의 역사는 1917년에 시작된다. 형법 58조(국가 반역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3 심리
: 체포된 사람의 심리에 사용된 많은 고문 방법.
;4 비밀 경찰
: "군도"로 사람을 보내는 취조관에게는 명령의 정확한 실행과 무자비함이 요구된다. 솔제니친은 4장에서 "셰익스피어 악당들의 상상력과 정신력은 12구의 시체 앞에서 멈췄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이데올로기'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는 악행에 오랫동안 찾아 헤맨 정당성을 부여하고 악행자에게 필요한 굳건함과 결단력을 부여하는 것이다."라고 썼다.[4]
;5 첫 감방 - 첫사랑
: 수감자에게 첫 감방은 동료 수감자들이 처음 만나는 장소이다.
;6 그 해의 봄
: 1945년 봄, 독일 포로였던 병사들은 소련 귀국 후에 수감자가 되었다.
;7 기관실 안에서
: 판결은 특별 심의에 의해 결정된다. 정식 재판이 아니다.
;8 유아기의 법
: 1917-1920년의 5번의 공개 재판 소개.
;9 법은 성인이 되다
: 1920년대 초반의 5번의 공개 재판 소개.
;10 법은 성숙하다
: 1920년대 후반 - 1930년대의 공개 재판 소개.
;11 사형
: 사형의 역사. 임시 정부는 1917년에 사형을 폐지했지만, 1918년에 부활했다. 1937-8년의 2년 동안에는 100만 명 가까이가 사형되었다고 한다.
;12 금고
: 수용소 이외의 금고형도 있었다. 유명인 등 일반 수감자와 섞어서는 안 되는 사람들의 형벌이다.
2. 2. 제2부: 굴라그 이송과 강제 노동
Архипелаг ГУЛАГ|아르히펠라크 굴라크ru로 이송되는 과정은 죄수 차량이나 호송차를 이용해 이루어졌다.[2] 소련의 거의 모든 마을에는 중계 감옥이 있었는데, 이곳은 죄수들이 수용소 생활에 순응하기 위한 준비 장소이기도 했다.[2] 솔제니친은 수용소에서 「일반 작업」만은 피하도록 가르침을 받았다고 언급했다.[2]죄수들은 화물 열차, 달마 배, 도보, 특별 호송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송되었다.[2] 특별 호송의 경우 죄수와 호송병은 일반인이 타는 열차에 슬쩍 동승하기도 했다.[2]
2. 3. 제3부: 강제 노동과 수용소 생활
Архипелаг ГУЛАГru의 제3부는 굴라그 내 강제 노동의 참혹한 현실과 수감자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상세히 묘사한다.- 오로라의 손가락: 1918년 7월 법무인민위원부의 "임시 지령서"를 통해 정치범과 일반 범죄자들이 강제 노동을 선고받는 수용소 시스템, 즉 굴라그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 군도는 바다에서 떠오른다: 제정 시대부터 존재했던 솔로프키 섬 수도원 감옥이 1923년 특별 수용소로 전환되는 과정을 다룬다.
- 군도는 암종을 전이시킨다: 1928년 이후 솔로프키 섬 밖으로 확장된 굴라그 시스템과 1933년 완공된 백해 운하 건설 등 대규모 강제 노동 프로젝트를 비판한다.
- 군도는 냉혹해진다: 굴라그 역사상 가장 가혹했던 시기와 전시 상황으로 인한 수감자들의 고통을 묘사한다.
- 군도의 기반: 차별 식량 운용 제도, 작업반, 사기 등 굴라그 운영의 기반을 설명한다.
- 파시스트 놈들이 실려왔다!: 58조 위반자, 즉 정치범들을 '파시스트'로 낙인찍고 탄압하는 현실을 저자 자신의 경험을 섞어 묘사한다.
- 군도 주민의 생활: 과도한 노동과 열악한 배급으로 인한 수감자들의 고통스러운 삶을 묘사한다. ("큰 배급 식량이 죽음을 가져온다.")
- 수용소 안의 여성: 여성 수감자들이 겪는 성적 착취와 폭력의 문제를 다룬다. 남자 특권 죄수에게 유혹받은 신입 여죄수는 그들의 여자가 되면 비교적 나은 생활을 할 수 있었다.
- 특권 죄수: 일반 작업을 면제받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노동을 하는 특권 죄수들의 존재와 그들의 생존 가능성을 언급한다.
- 정치범 대신에: 정치범 대신 무고한 사람들이 58조 위반으로 수용소에 수감되는 현실을 비판한다.
- 충성파 사람들: 정통파 공산당원들조차 체포되어 수감되는 현실을 통해, 체제 자체의 모순을 지적한다. 그들은 소련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체포에 뭔가 잘못이 있었다고 믿었다.
- 밀고: 수용소 당국이 밀고를 장려하는 행태를 비판한다.
- 한 겹 벗기면, 또 한 겹 벗겨라!: 수감 중에도 추가 형기를 선고받는 경우가 빈번했던 현실, 특히 1938년의 상황을 고발한다.
- 운명을 바꾸는 것!: 탈주를 시도하는 죄수들과 그들을 체포하는 데 혈안이 된 당국 및 현지 주민들의 모습을 묘사한다.
- 징벌: 징벌 감방, 징벌 구내 등 가혹한 처벌 시스템을 폭로한다.
- 사회적 친인 분자: 58조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범죄자들이 정치범보다 우대받는 현실을 지적한다.
- 소년 죄수: 1935년부터 12세 이상의 소년 범죄자들까지 수용 대상이 된 현실과 그들이 굴라그 시스템에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 수용소 군도의 뮤즈들: 문화 교육부를 통한 아마추어 연예회, 합창회 등 수용소 내 문화 활동을 언급한다.
- 민족으로서의 죄수들: 죄수들이 '제크(Z/K)'라는 하나의 민족을 구성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 개의 임무: 수용소 관리자들의 오만, 전횡, 탐욕, 잔인성 등 공통된 특징을 비판한다.
- 수용소 주변의 세계: 수용소 주변의 자유 고용인들과 수용소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 우리는 건설한다: 백해 운하를 비롯한 굴라그 죄수들에 의해 수행된 대규모 건설 사업 목록을 제시한다.
2. 4. 제4부: 수감 생활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1 향상수용소는 사람의 마음을 바꾼다. 자신의 약점을 알게 되면서, 타인의 약점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1]
;2 타락인가?
수용소에서 타락하는 것은, 수용소에 들어가기 전에 마음이 풍족하지 못했던 사람들이다.[1]
;3 짓눌린 세상
군도 바깥의 세계도 군도의 독에 물들었다. 그 영향을 10가지 항목으로 제시한다.[1]
;4 약간의 운명
자존심 강한 두 죄수의 운명을 그린다.[1]
2. 5. 제5부: 특수 수용소와 저항
1943년 요제프 스탈린은 징역형을 부활시켰다. 1948년에는 특수 수용소가 창설되어 58조[1] 해당 인물들은 그곳으로 보내졌다. 특수 수용소의 형기는 보통 25년으로, 이는 죄수들에게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저항 의식을 불러일으켰다.작가는 1950년에 에키바스투즈 특수 수용소에 입소했다. 그해 9월, 텐노와 주노다크가 이곳에서 탈주했다. 당시 죄수들은 여론의 지지 없이 탈주나 폭동 외에는 저항할 수단이 없었다. 작가는 에키바스투즈에 오기 2년 전부터 비밀리에 서사시를 창작했다.
게오르기 텐노는 1948년에 체포되어 25년을 선고받고 1950년 9월 에키바스투즈에서 탈주를 시도했으나, 자동차 강탈 실패 후 20일 동안 스텝을 걸었다. 그는 일반인에게서 국내 여행권 등을 빼앗을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여러 차례의 탈주 계획이 실패로 돌아갔다.
수용소 경비병들은 자발적으로 지원한 것이 아니라, 군사 위원회에 소집되어 조국에 충성하는 젊은이들이었다. 특수 수용소에는 정치범(58조)이 다수였고 일반 범죄자는 소수여서, 수용소 내 도난 사건이 사라지고 죄수들 간의 신뢰와 협력이 강화되었다.
1952년 1월, 에키바스투즈에서 죄수 파업이 일어났고, 이 소식은 다른 수용소로 퍼져나갔다. 1954년 5-6월, 켕기르 수용소에서 수용소 군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T-34 전차가 투입되어 진압되었다.[1]
2. 6. 제6부: 유형(流刑)
소련의 유배는 1922년 강제 이주부터 시작되었다. 1929년부터 1930년까지는 농업 집단화가 이루어지면서 콜호스에 가입하지 않은, 이른바 '부농'으로 간주된 농민 1500만 명이 시베리아 등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카라간다는 대표적인 유배 도시였지만, 유배지에서 일자리를 얻는 것은 도시가 작을수록 어려웠다. 콜호스에서는 수용소와 달리 배급 빵조차 없는 경우도 있었다.1937년에는 고려인들이 카자흐스탄으로 보내졌고, 1941년에는 볼가의 독일인들이 이주되었다. 그 외에도 발트인, 타타르인, 그리스인, 체첸인 등 여러 민족들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형기를 마친 죄수들은 유배형을 받았다. 작가 역시 1953년 유배형을 받고 학교 교사 자리를 신청했다. 그러던 중 라디오에서 스탈린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었다. 작가는 수학과 물리 교사가 되었고, 흐루쇼프 시대가 되면서 58조항의 유배가 폐지되어 자유를 얻었다.
하지만 유배되지 않고 석방된 죄수들은 주민등록 문제로 인해 취업과 정착에 어려움을 겪었다.
2. 7. 제7부: 스탈린 사후의 굴라그
Архипелаг ГУЛАГru 제7부에서는 요제프 스탈린 사후에도 굴라그 시스템이 지속되는 현실과 그 의미를 다룬다.; 1장 이제 와서 내팽개치다니
: 1962년,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발표했다. 독자들로부터 편지가 쇄도했지만, 1964년을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은 발표가 금지되었다.
; 2장 위정자들은 바뀌지만 "수용소 군도"는 남는다
: 1954~1956년은 "수용소 군도(굴라그)" 역사상 가장 자유로운 시대였다. 그러나 1961년에 규율이 개정되어 현재의 수용소가 되었다.
; 3장 오늘의 법률
: 1962년 노보체르카스크의 전기 기관차 공장에서 파업이 일어났다. 군대가 집결하여 군중에게 일제 사격을 가했다. 솔제니친은 기타 사건들을 포함하여 이 나라에는 법률이 없다고 결론짓는다.
3. 출판 및 영향
1973년, YMCA 프레스(YMCA Press)에서 러시아어 초판이 출간되었다.[12] 솔제니친은 출판사의 출간을 허가했지만, 예상보다 약 열흘 일찍 작품이 공개되었다. 이 책은 즉시 큰 파장을 일으켰고, 몇 달 안에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토마스 P. 휘트니(Thomas P. Whitney)가 영어 번역을 맡았고, 영어와 프랑스어 번역본은 1974년 봄과 여름에 출판되었다.[13]
이 작품은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서방 세계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솔제니친은 책 출간 6주 만에 소련에서 추방되었다.[13]
2009년부터 러시아 학교는 이 책을 필독서로 지정했다.[16][17]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이 책을 "매우 필요한 책"이라고 평가했으며,[16] 러시아 교육부는 이 책이 "20세기 국내 역사의 과정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여준다"고 말했다.[18]
4. 비판적 시각
일부 역사학자들은 솔제니친이 증언과 구술 자료에 의존하고, 추정치가 과장되었다는 점을 들어 《수용소 군도》의 역사적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24][25] 나탈리아 레셰토프스카야는 이 책을 "민속"으로 묘사하며, 그 중요성이 과대평가되었다고 주장한다.[19][20]
스티븐 G. 위트크로프트는 이 책이 "훌륭한 문학적 걸작이자 소련 정권에 대한 날카로운 정치적 고발"이라고 묘사하면서도, 본질적으로 "문학적, 정치적 작품"이며 "수용소를 역사적 또는 사회 과학적 정량적 관점에서 고찰하려 한 적은 없"다고 지적했다.[24] 그는 솔제니친이 질적 추정에서 부정확하게 높은 추정치를 제시한 것은 소련 당국에 "수용소의 규모가 이보다 작다는 것을 보여주도록" 도전하기 위함이었다고 썼다.[24] 또한, 역사학자들이 스탈린 치하에서 수천만 명의 사망자를 추정하는 데 솔제니친의 주장에 의존했지만, 국가 기록 보관소의 연구 결과는 더 낮은 추정치를 입증했으며, 대중 언론에서는 인용하거나 의존해서는 안 될 심각한 오류를 계속 포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25]
J. 아치 게티는 솔제니친의 방법론에 대해 "그러한 문서화는 다른 역사 분야에서는 방법론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26][27] 가보르 리터스포른은 게티의 비판에 동의하며, 솔제니친이 "막연한 회상과 소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불가피하게 선택적 편향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28] 바딤 로고빈은 솔제니친이 읽었던 증언 기록에 대해 "그 내용은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해석하는 데 많은 자유를 얻었다"고 썼다.[29] 로고빈과 월터 라커는 이 책이 '구술사' 장르에 속한다고 주장한다.[30][31]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수용소 군도》는 권력 남용과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일제강점기, 한국 전쟁, 군사독재 등 억압적인 시대를 경험한 한국 사회에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특히,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시민 사회의 역할, 그리고 과거사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 작품은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참조
[1]
뉴스
Goulag dans " Le Monde ", l'avant et l'après Soljenitsyne
https://www.lemonde.[...]
2024-01-02
[2]
웹사이트
Cinquante ans après avoir édité "L'Archipel du Goulag", la librairie Les Éditeurs réunis à Paris résiste encore
https://www.telerama[...]
2024-01-02
[3]
서적
Solzhenitsyn: A Soul in Exile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4]
서적
The Gulag Archipelago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73-01-01
[5]
서적
Aleksandr Solzhenitsyn: A Century in his Life
Abacus
[6]
뉴스
New York Times Book Review: The Gulag Archipelago
https://www.nytimes.[...]
2024-04-09
[7]
문서
Solzhenitsyn, ''The Oak and the Calf'' and ''Invisible Allies''
[8]
서적
Art of the Baltics: The Struggle for Freedom of Artistic Expression Under the Soviets, 1945–1991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9]
서적
Invisible Allie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0]
뉴스
Solzhenitsyn, Literary Giant Who Defied Soviets Dies at 89
https://www.nytimes.[...]
[11]
문서
Thomas, 1998, p. 398.
[12]
문서
Scammell, ''Solzhenitsyn, a Biography'', 1985
[13]
학술지
The Gulag Archipelago, 1918–1956: An Experiment In Literary Investigation, I-II. By Aleksandr I. Solshenitsyn. Translated from the Russian by Thomas P. Whitney. New York: Harper & Row, 1974. xii, 660 pp. $12.50, cloth. $1.95, paper. - The Stalinist Terror In The Thirties: Documentation From The Soviet Press. Compiled with an introduction by Borys Levytsky. Hoover Institution Publications, 126.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1974. xxvii, 521 pp. $14.50.
1975-12-01
[14]
잡지
The Exile Returns
https://www.newyorke[...]
1994-02-07
[15]
뉴스
Truth In Exile
https://www.theameri[...]
2020-11-28
[16]
뉴스
Solzhenitsyn's 'Gulag' mandatory in Russian schools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1-08
[17]
뉴스
'Gulag Archipelago' Re-Issued for Russian Students
https://www.wsj.com/[...]
2010-10-28
[18]
뉴스
Gulag Archipelago joins Russian curriculum
https://www.cbc.ca/n[...]
CBC
2009-09-09
[19]
뉴스
Solzhenitsyn's Ex-Wife Says 'Gulag' Is 'Folklore'
https://www.nytimes.[...]
1974-02-06
[20]
뉴스
Natalya Reshetovskaya, 84, Is Dead; Solzhenitsyn's Wife Questioned 'Gulag'
https://www.nytimes.[...]
2003-06-06
[21]
웹사이트
Natalia Solzhenitsyn: Returning to 'The Gulag'
https://app.luminpdf[...]
2021-08-13
[22]
뉴스
Natalya Reshetovskaya, 84, Is Dead; Solzhenitsyn's Wife Questioned 'Gulag'
https://www.nytimes.[...]
2003-06-06
[23]
뉴스
Natalya Reshetovskaya Dies at 84
https://www.washingt[...]
2003-06-05
[24]
학술지
The Scale and Nature of German and Soviet Repression and Mass Killings, 1930–45
http://sovietinfo.tr[...]
[25]
학술지
Victims of Stalinism and the Soviet Secret Police: The Compa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rchival Data. Not the Last Word
http://sovietinfo.tr[...]
Routledge
1999-03-01
[26]
서적
Origins of the Great Pur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Origins of the Great Pur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Stalinist Simplifications and Soviet Complications, 1933–1953
Harwood Academic Publishers
[29]
서적
1937: Year of Terror
1998-01-01
[30]
서적
Stalin The Glasnost Revelations
Scribner's
1990-01-01
[31]
서적
1937 Stalin's Year of Terror
Mehring Books
1998-01-01
[32]
뉴스
Held des Westens
2008-08-07
[33]
서적
On Stalin and Stalinism
Oxford University Press
[34]
뉴스
Excerpts From Roy Medvedev's Essay on Solzhenitsyn's 'Gulag Archipelago'
https://www.nytimes.[...]
1974-02-07
[35]
학술지
On Solzhenitsyn's Book The Gulag Archipelago
Taylor & Francis Online
1974-01-01
[36]
뉴스
The Writer Who Destroyed an Empire
https://www.nytimes.[...]
2018-12-11
[37]
서적
50 Politics Classics: Freedom, Equality, Power (50 Classics)
Nicholas Brealey
[38]
웹사이트
Aleksandr Solzhenitsyn: Speaking truth to power
http://www.economist[...]
2008-08-07
[39]
뉴스
Alexander Solzhenitsyn
https://www.abc.net.[...]
ABC AU
2008-08-12
[40]
서적
The Gulag Archipelago
https://www.penguin.[...]
Penguin
2018-11-01
[41]
뉴스
Jordan Peterson On Soviet Horrors, The Gulag Archipelago: 'This Is Not Widespread Knowledge'
https://www.realclea[...]
Real Clear Politics
2018-09-30
[42]
뉴스
China is 'threat to world' says dissident writer
https://www.france24[...]
2019-04-05
[43]
뉴스
Chinese dissident Liao Yiwu to speak at Patrick Henry College
https://www.washingt[...]
2011-10-17
[44]
뉴스
China's Gulag for Muslims
https://www.nytimes.[...]
2019-01-02
[45]
웹사이트
'Тайная история "Архипелага ГУЛАГ"'. Премьера фильма
http://tvkultura.ru/[...]
The press service the channel Rossiya K
2009-12-12
[46]
뉴스
Ultimul interviu Aleksandr Soljeniţîn: 'L\'histoire secrète de L\'ARCHIPEL DU GULAG'
http://www.poezie.ro[...]
2009-10-10
[47]
웹사이트
Secret History: The Gulag Archipelago
http://video.yandex.[...]
Video.yandex.ru
[48]
웹사이트
Secret History The Gulag Archipelago
https://www.youtube.[...]
[49]
서적
Origins of the Gulag: The Soviet Prison Camp System, 1917–1934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50]
웹사이트
«Архипелаг ГУЛАГ» включен в школьную программу
http://www.solzhen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